제대로 분리배출하는 법: 헷갈리는 재활용 완전 정리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제대로 분리배출하는 법: 헷갈리는 재활용 완전 정리
분리배출은 ‘환경을 위해 내가 오늘 당장 할 수 있는 가장 쉬운 행동’입니다. 하지만 막상 하려면 헷갈리기 마련이죠. 페트 라벨은 떼야 하는지, 유리병은 꼭 씻어야 하는지, 종이팩은 종이와 같이 버려도 되는지—작은 물음표들이 쌓이면 손이 멈춥니다. 그래서 오늘은 집에서 곧바로 적용할 수 있는 “세척–분리–건조” 3원칙과 품목별 요령을 따뜻하게, 그러나 확실하게 정리합니다. 완벽함보다 일관성이 중요합니다. 우리 집 쓰레기통 앞 작은 멈춤이 내일의 지구를 조금 더 맑게 해 줄 거예요.
분리배출 3원칙: 세척·분리·건조
세척은 거창하지 않아도 됩니다. 기름 때가 아닌 이상, 가벼운 헹굼만으로도 선별 효율이 크게 오릅니다. 분리는 이종 소재를 떼어내는 일입니다. 페트 라벨, 펌프, 금속 캡처럼 ‘재질이 다른 부품’을 알아보는 눈을 길러보세요. 마지막으로 건조. 물기 때문에 곰팡이가 생기면 재활용률이 떨어집니다. 밤새 말려 아침에 배출하는 루틴을 추천합니다.
플라스틱·비닐
플라스틱은 종류가 많아 더 헷갈립니다. 페트병은 라벨을 제거하고, 병은 찌그러뜨린 뒤 캡을 닫아 부피를 줄여 주세요. 투명 페트가 선별 효율이 높으므로 앞으로는 가능하면 투명 제품을 선택하는 것도 좋은 실천입니다. 비닐류는 내용물 오염이 심하면 일반쓰레기가 맞습니다. 특히 치즈·햄 포장처럼 기름이 베인 비닐은 분리해도 재활용되기 어렵습니다. 반대로 ‘바삭 포장비닐(스낵류)’은 복합소재인 경우가 많아 지역 가이드에 따르되, 가능하면 구매 단계에서 포장을 줄이는 방향으로 습관을 바꿔봅시다.
종이·종이팩
종이는 깨끗하면 대부분 재활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코팅지·영수증·택배 스티커는 분류가 다릅니다. 상자에서는 ‘비닐 테이프·스티커’를 떼어내고, 가능하면 종이 테이프로 전환해 다음 분리배출을 쉽게 만들어 주세요. 종이팩(우유·주스)은 일반 종이와 섞지 말고 별도로 모아 헹군 뒤 펼쳐 말리면 고급 펄프로 재활용됩니다. 작은 습관 하나가 숲 한 그루를 아끼는 셈이죠.
유리·금속캔
유리는 내용물을 비우고 금속 캡을 분리해 헹군 뒤 배출합니다. 깨진 유리는 재활용이 불가하고, 수거자 안전을 위해 신문지에 감싸 ‘유리 파손’ 표시 후 일반 종량제 봉투로. 캔은 가볍게 헹군 뒤 발로 살짝 눌러 부피를 줄여 주세요. 라벨이 붙어 있다면 가능한 제거해 주면 선별 효율이 올라갑니다.
복합재질(멀티소재) 대처
치약 튜브, 과자 포장지, 진공 커피 백처럼 서로 다른 재질이 샌드위치처럼 겹쳐진 포장재는 재활용이 어렵습니다. 완벽히 분리하기도 힘들죠. 답은 구매 줄이기·리필 선택·대용량 소분입니다. 예를 들어 커피는 원두를 유리병에 담아 리필 구매하고, 간식은 덜 자주 사되 대용량을 사서 집에서 소분하면 포장 쓰레기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음식물 쓰레기와 수분
음식물 쓰레기는 물기 제거가 핵심입니다. 물이 많을수록 처리 에너지가 커지고 냄새·해충 문제가 생깁니다. 베란다에 작은 거름망과 탈수 바구니를 두고 물기를 빼 보세요. 지역마다 예외가 있는 뼈·씨·껍질 기준은 지자체 안내를 확인하고, 커피박은 건조 후 탈취제나 화분 비료로 재활용하면 좋습니다.
집안 배치가 반이다
마음가짐만으론 오래가기 어렵습니다. 싱크대 옆에는 미니 솔·집게, 건조대 위에는 건조망·신문지를 두어 ‘세척–건조’ 동선을 고정하세요. 라벨·캡 같은 작은 부품은 미니 바구니에 모았다가 한 번에 처리하면 편합니다. 분리배출은 생활 동선에 맞추는 순간, 부담이 루틴으로 바뀝니다.
마무리: 오늘 밤, 하나만 더
완벽을 목표로 하면 금세 지칩니다. 오늘은 페트 라벨만 꼭 떼 보기, 오늘은 종이테이프로 상자 봉하기—이처럼 작은 목표 하나면 충분합니다. 내일의 나는 오늘의 나보다 한 걸음 더 가 있을 거예요. 당신의 꾸준함을 응원합니다.
제로웨이스트 시리즈
이전 글: 10편 제로웨이스트 대처법 | 다음 글: 12편 직장에서 하는 제로웨이스트